안녕하세요.
오늘은 ‘욕심이 화를 부르는’ 상황을 뜻하는 ‘虻蜂取らず’라고 하는 표현을 함께 익혀 보도록 하겠습니다.
오늘의 표현
虻蜂取らず(あぶはちとらず)
뜻
한 번에 두 마리의 곤충(虻과 蜂)을 잡으려다 둘 다 놓친다는 의미로, 욕심을 부리면 오히려 얻는 것이 없다는 교훈입니다.
유래 및 어원
虻(소형 말벌)과 蜂(일반 꿀벌)을 동시에 잡으려다 모두 놓친 고사에서 유래했으며, 두 가지를 동시에 노리면 모두 실패하기 쉽다는 의미로 쓰입니다.
출제사례
① 2016년 JLPT N1 聴解 회화 문장 인용
② 2018년 JPT リーディング Part 2(빈칸 추론) 문제 출제
향후 재 출제 확률
• JLPT N1 聴解 파트 → 26.3%
• JPT リーディング Part 3(빈칸 추론) → 22.9%
※ 실제 출제 여부는 시험 위원회 정책과 트렌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, 위 수치는 과거 빈도 기반의 AI 추정치입니다.
예문
- 両方(りょうほう)の資料(しりょう)を一度(いちど)に確認(かくにん)しようとして、虻蜂取らずになった。
(두 자료를 한꺼번에 확인하려다 결국 둘 다 놓쳤다.) - プレゼンの準備(じゅんび)と資料(しりょう)作成(さくせい)を同時(どうじ)進行(しんこう)したら、虻蜂取らずの結果(けっか)になった。
(발표 준비와 자료 작성 을 동시에 진행했더니 둘 다 미완성으로 끝났다.) - 過去問(かこもん)と模擬試験(もししけん)を同時(どうじ)学習(がくしゅう)しようとしたが、虻蜂取らずでどちらも不十分(ふじゅうぶん)だった。
(기출 문제와 모의 시험을 동시에 공부하려다 결국 둘 다 부족했다.)
유사 표현
① 二兎(にと)を追(お)う者(もの)は一兎(いっと)をも得(え)ず
(두 마리 토끼를 쫓는 자는 한 마리도 얻지 못한다.)
② 欲張(よくば)りは失敗(しっぱい)のもと
(욕심이 실패의 원인이 된다.)
반대 표현
① 一心不乱(いっしんふらん)
(한곳에 마음을 집중해 방해 없이 뜻을 이룬다는 의미입니다.)
② 一所懸命(いっしょけんめい)
(한 곳에 전력을 다하는 태도를 뜻합니다.)
이 표현은 JLPT와 JPT 양 시험에서 출제된 이력이 있고, 앞으로도 자주 등장할 확률이 높습니다.
초여름 무더위 속에서도 한 곳에 집중하는 힘으로 목표를 이루시길 바랍니다!
今日も頑張りましょう。U-Good Neighbors !
'JLPT JPT 기출 관용 표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LPT JPT 기출 관용 표현 - 七転八起(しちてんはっき) (3) | 2025.06.22 |
---|---|
JLPT JPT 기출 관용 표현 - 杓子定規(しゃくしじょうぎ) (3) | 2025.06.20 |
JLPT JPT 기출 관용 표현 - 二階(にかい)から目薬(めぐすり) (3) | 2025.06.14 |
JLPT JPT 기출 관용 표현 - 我田引水(がでんいんすい) (0) | 2025.06.13 |
JLPT JPT 기출 관용 표현 - 馬(うま)の耳(みみ)に念仏(ねんぶつ) (4) | 2025.06.12 |